병특토크
취업TIP
병역지정업체 취업, 편입, 근무 TIP 및 복무후기를 공유해보세요
- 이번주 인기 TIP 더보기
-
- 산업체 면접시 질문해야 할것1,0150
- 산업기능요원 면접팁8761
- 마이스터고 출신 면접 및 채용8703
- 산기요 취업팁8552
- 비전공자 IT 기업 보충역 채용팁7501
2015-2018산업기능요원 근무 경험을 말씀드립니다.
- 작성자 jjo*****
- 작성일2022/04/28 03:23
- 조회 472
안녕하세요 병특을 희망하는 후배님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글을 남겨봅니다.
산업기능요원은 크게 2가지형태입니다.
1)현역 -> 고등학교 실습 -> 산업기능요원 약 3년
2)4급 -> 산업기능요원 약 2년2개월
저는 이중에서 후자였고 공무원으로 재직중에 군 휴직을 하고 산업기능요원을 간 특이케이스입니다.
당시 집안 사정이 어려워져 지속적인 수입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공무원은 겸직금지로 인해 공익근무를 하면서 일을 병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과감하게 산업기능요원을 알아보았습니다.
단 이때는 수습기간없이 바로 근무기간으로 편입되어야 가능하므로 회사와 협상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면접과 채용시에 악용하는 행태는
수습기간을 길게 두거나 편입을 늦게 시키는 형태입니다.
티오는 2명인데 3~4명을 뽑아 3개월 수습 + 편입 형태로 수습 기간에 부려먹고
올해는 편입이 어렵다는 말로 수습기간을 연장시키거나 더 길게 일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산업기능요원은 그 신분적 한계로, 최저시급을 받고 고용형태도 매우 불안합니다.
회사의 부당한 요구에 불복하거나 대항하게 되면 심하면 해고를 당하고 기간을 1/4만 인정받고 다시 군대에 가거나, 전직할 회사를 빠르게 구해야하는 난처한 상황에 처해질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성실하게 근무하는것은 물론이고 자신의 엣지(강점)을 반드시 갖고 회사생활에 임해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고등학교를 이제 갓 졸업한 사회경험이 부족한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이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의 강도도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제가 일한 곳은 부산에 한 공장인데, 업무강도가 상당히 쌘 편이였습니다.
아직도 그때 얻은 손목 터널 증후군, 허리 디스크가 남아있을 정도로 업무강도가 강했습니다.
사무직 경험만 있거나, 체력적으로 부족한 친구들은 몇개월 버티지 못하고 그만두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건 자신의 엣지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하고 나를 필요로 하는 회사가 있는지
그리고 그 회사의 입지가 어느 수준인지, 어떤 대우를 해주는지 생각해봐야합니다.
이 회사가 업계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이고 장차 미래가 있는가?
단순히 싸게 노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병역특례원을 뽑는것은 아닌가?
병역특례 이후 계속 회사에 근무하는 장기근속자가 많이 있는가?
등을 미리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화학약품을 많이 사용하거나 업무 수행중에 위험할 수 있는 업무라면 한번더 고려해보세요
안전사고가 많이 일어날 뿐 아니라 추후 병특이 끝나고 신체적으로 돌이킬수 없는 데미지를 입을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군대에 가기 싫어서보다는 사회에 일찍 나가서 유용한 경험을 많이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면접을 보러 많이 다니세요.
그리고 회사 보는 눈을 키우고 자신의 대우를 스스로 높혀나가시기 바랍니다.
-
r5r********************** (2022/04/28 14:24)저도산업기능요원 준비중인데 정성스런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될것같습니다.
-
gue** (2022/05/02 13:10)오옷~ 너무 좋은 정보 감사해여~